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정보18

국세 완납증명서와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 방법 (인터넷으로 가능) 국세 완납증명서와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나 시청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집에서 발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국세 완납증명서는 홈택스를 이용할 수 있고,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정부 24를 통해 발급 가능합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어떤 경우에 국세 완납증명서나 지방세 납세증명서가 필요할까요? 대출을 위해 금융기관에서 요구하거나 임대차 계약 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나중에 혹시나 강제로 돈을 회수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게 됐을 때 국세나 지방세가 체납되어 있으면 골치 아픈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세권이나 저당권 설정 이전에 국세, 지방세 체납이 있는 경우 일반채권보다 변제의 우선순위에 있습니다. 그래서.. 2021. 7. 13.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위소득에 따른 금리지원,소득공제 조건과 혜택 청년 내일 저축계좌(가칭)는 기존의 청년 저축계좌의 확장형입니다. 중위소득 100% 이하의 청년에게 주는 혜택입니다. 매월 10만 원씩 저축을 하면 정부에서 매달 10만 원을 지원해 줍니다. 총 20만 원의 금액을 3년간 저축하여 3년 만기로 저축하면 720만 원의 목돈을 손에 쥘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중위소득 50% 이하의 청년들이 지원 가능했지만 청년 내일 저축계좌는 중위소득 100% 이하로 대폭 상향되었습니다. 또한 추가로 150% 이하의 청년에게는 금리 지원을 해주고 그 이상의 고소득을 올리는 청년은 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해 주는 제도가 곧 시행될 예정입니다. 7월 중 발표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리면 구체적인 계획을 알 수 있겠네요. 이미 알려진 청년 내일 저축계좌의 조건과 혜택에 대해 알아볼까요?.. 2021. 7. 7.
5차 재난 지원금 신용카드 캐시백 사용방법과 지원금액 5차 재난 지원금 중 상생 국민 지원금은 하위 80%가 받지만 상생 소비 지원금은 전 국민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 시 월 한도 10만 원 안에서 캐시백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총한도는 30만 원이며 카드 사용 금액의 3% 초과된 금액에서 10%를 캐시백 받을 수 있습니다. 흔히 5차 재난지원금으로 알려진 상생 국민 지원금은 하위 80%의 국민들이 1인당 25만 원의 금액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선불카드를 선택해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만 보면, 마치 신용카드 캐시백이 더 많은 혜택을 주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목적 신용카드 캐시백은 코로나로 침체된 경기를 살리고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지원 내용 대상 : 전 국민입니다. 금액.. 2021. 7. 6.
주52시간 근무제 시행 위반시 처벌수위와 궁금증 (예외업종, 유예, 점심시간 등) 2018년 7월 일부터 근로자 300인 이상의 사업장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해서 점차 확대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올해 7월 1일부터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중소기업에도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합니다. 위반하게 되면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됩니다. 기존에 방식에서 변화해서 발전하려면 시행착오를 겪기 마련입니다. 주 52시간 근무제 역시 그렇습니다. 사회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도적으로도 보완이 되어야겠죠. 그렇게 되는데 근로자나 사업자가 이 제도에 대해 잘 아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주 52시간 근무제란? 법정근로 1주일 40시간 (1일 8시간) 그리고 최장 연장근로 12시간을 더한 총 52시간 이하로만 근무할.. 2021.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