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 건조증이란 눈의 윤활제 역할을 하는 눈물이 잘 나지 않거나 빨리 증발하면 흔히, 눈이 시려요 라는 말이 나오게끔 하는 질환입니다. 가벼운 질환으로 여기기 쉬운 이 병은 우리의 삶에서 큰 불편함을 끼칩니다. 안구 건조증의 예방과 치료 방법은 무엇일까요?
먼저, 안구 건조증은 오늘날 현대인들이 걸리기 쉽습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기기를 많이 바라보기 때문이죠. 여름에는 에어컨, 겨울에는 히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해진 공기에 쉽게 노출됩니다. 거기에 더해 각종 공해와 과중한 업무를 비롯한 스트레스는 안구 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구 건조증 증상
눈이 뻑뻑하다. 자주 눈이 부신다. 눈이 시리다. 사물이 뿌옇게 보일 때가 있다. 예전보다 시력이 떨어진 것 같다. 스마트폰을 바라보거나 TV를 볼 때, 바람이 불거나 건조한 환경에 있을 때 위와 같은 증상을 자주 느낀다면 안구 건조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한 상황이 아니라 항상 눈이 시리거나 아픈 느낌이 든다면 아래의 안구 건조증 예방 방법과 치료 방법에 주의를 기울여 보시기 바랍니다.
안구 건조증 예방법 - 생활환경과 습관을 바꾸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내 습도를 60% 정도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 - 건조한 겨울철에는 안구 건조증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가습기를 통해 습도를 높여 줘야 합니다. 반대로 여름철에는 장시간 에어컨을 사용하면 공기가 건조해 기지 때문에 자주 환기를 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오염된 공기는 만성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공기 정화를 위해서도 환기는 중요합니다. 또한 히터나 에어컨 바람이 얼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도 예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컴퓨터나 스마트폰, TV 등의 화면을 장시간 바라보지 않아야 합니다.
- - 어쩔 수 없이 오랜 시간 바라보아야 한다면, 1시간에 10분씩은 눈을 감고 쉬어주어야 합니다. 눈을 깜박여야 눈물이라는 윤활제를 안구를 보호할 수 있는데, 우리의 눈은 무언가에 집중을 하면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 콘택트렌즈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 - 콘택트렌즈가 안구 건조증에 좋지 않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죠. 렌즈는 눈물을 흡수해서 건조하게 만들기 때문에 렌즈 대신 안경을 쓰는 것이 눈의 자극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인공 눈물을 쓰신다면 보존제가 들어가지 않은 것을 쓰시길 추천합니다.
안구 건조증 치료법
-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3가지 경혈점을 지압해 주면 효과가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서 생각날 때마다 수시로 지압을 해 줄 수 있습니다. 검지 손가락으로 적당한 압력을 가해서 2~3초간 눌러 주세요.

<사진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같이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질병을 앓고 계신다면 그 병을 치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에 더해서 안구 건조증에 좋다는 오메가 3가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거나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염증이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알려져, 이럴 경우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거나 스테로이드 점안제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생활 습관이나 환경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하루빨리 안과를 방문하세요. 의사의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더 심한 안구 건조증으로 발전하기 않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눈은 소중합니다. 우리는 눈을 통해 즐거움, 기쁨을 느끼고 눈을 통해 사물을 이해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들도 볼 수 있죠. 따라서 안구 건조증 때문에 눈이 시리고 뻑뻑한 느낌이 든다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방치하지 마시고 치료와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만성 위염과 오래되면 위암을 일으킬 수도 있다 (0) | 2021.06.19 |
---|---|
열사병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익모초(육모초)의 효능과 먹는법 (0) | 2021.06.15 |
다이어트 성공 비법, 양파즙이 좋은 이유와 만드는 방법 그리고 주의점 (0) | 2021.06.14 |
심장 두근거림의 원인 (0) | 2021.06.06 |
더부룩 한 느낌의 복부 팽만감 원인 (0) | 2021.06.02 |
댓글